티스토리 뷰
px → em 변환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인 기준값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. 이 계산은 CSS에서 상대 단위를 사용할 때 매우 중요합니다.
1. 기본 개념 정리
- px (픽셀): 고정된 단위로, 화면의 실제 픽셀 수를 의미합니다.
- em: 상속된 폰트 크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단위입니다.
- 1em = 부모 요소의 font-size
- 2em = 부모의 글자 크기의 두 배
2. 변환 공식
css
복사편집
N px → em 변환 공식: N(px) / 기준 폰트 크기(px) = N(em)
- 예시: 기준 폰트 크기가 16px일 때
- 32px = 32 / 16 = 2em
- 12px = 12 / 16 = 0.75em
3. 기준 폰트 크기를 결정하는 원칙
위치기준이 되는 값
html 태그 내부 | 브라우저 기본값 (대개 16px) |
자식 요소 | 부모 요소의 font-size |
즉, em은 현재 요소의 부모 폰트 사이즈에 따라 달라짐
4. em과 rem 차이
단위기준설명
em | 부모 요소의 폰트 크기 | 중첩 시 누적됨 |
rem | html의 폰트 크기 | 항상 동일한 기준 (보통 16px) |
html { font-size: 16px; } div { font-size: 2em; /* 부모의 font-size 기준 */ }
5. 폰트 중첩과 em 계산 시 주의점
html { font-size: 16px; } .container { font-size: 1.25em; /* 1.25 * 16 = 20px */ } .child { font-size: 1.2em; /* 1.2 * 20 = 24px */ }
- .child 요소는 24px이 됩니다 (1.2em * 20px)
6. em 단위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
- 반응형 디자인: 폰트 크기가 부모에 비례해서 바뀌므로 유연함
- 접근성 향상: 사용자 브라우저 설정에 따라 폰트 자동 조정
- 재사용성 증가: 컴포넌트 크기를 더 유연하게 제어 가능
7. px → em 변환 실전 테이블 (기준 16px)
pxem
8 | 0.5em |
10 | 0.625em |
12 | 0.75em |
14 | 0.875em |
16 | 1em |
18 | 1.125em |
20 | 1.25em |
24 | 1.5em |
32 | 2em |
8. px → em 계산 자동화 팁
- Sass/SCSS 함수:
@function em($px, $base: 16) { @return ($px / $base) * 1em; } .element { font-size: em(24); // => 1.5em }
- VSCode 플러그인 or 온라인 계산기:
'HTML5-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마크업 개발 7단계 / 퍼블리싱 가이드 (2) | 2017.08.03 |
---|---|
css3를 아주 간단하게 만들어줌 (1) | 2016.10.30 |
관리자 템플릿 참고 사이트 모음 (0) | 2016.07.29 |
jQuery 로 CSS의 미디어 쿼리를 활용하여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감지하는 방법 (0) | 2016.07.23 |
2.2 meta 요소 (0) | 2016.05.20 |
댓글
Blog is Powered by 2011
DEVLUV