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계와 기계가 규격화 된 방식으로 인터넷(웹)을 이용해서 통신할 수 있도록 있는 통신 규칙 HTTP를 이용한다.(https://opentutorials.org/module/3621) API=> 시스템을 은행 데이터를 돈 클라이언트를 고객 api를 은행원이라 생각하면 된다 REST API->응용프로그램이 시스템에 있는 데이터를 쉽게 사용하기 위해 시스템이 각 데이터에 이름을 붙혀 정리해 놓은것. Rest api의 규칙 1.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한다. (GET,POST,PUT)DELETE/topics/1 Resource를 rest api로 표현하면 resource는 URI를 통해 표현된다. 이때 전체를 식별하고 싶다면 또는 여러개의 topic을 식별하고 싶다면 http://example.com/t..
데몬 실행 Louts daemon이 실행 상태여야 합니다. lotus daemon 코인 구매 Miner를 시작하려면 가스(거래 수수료) 비용을 낼 코인이 없어서 아래와 같이 에러가 발생 됩니다. 지갑 리스트 확인 lotus wallet list -i 지갑 키 파일 만들기 lotus wallet export > .key 7b2254797065223a22626c73222c22507269766174654b6579223a223942684938664d53494248676f724842526c432b544b724e66385733553178696f5a676b77493 Filefox 해당 지갑에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. Miner 초기화 lotus-miner init --owner= --worker= 초기화가 완료되면 다..
아래 메뉴얼은 Lotus Node와 Lotus-miner가 같은 머신에서 실행될 때의 메뉴얼을 작성한 것 입니다. 만약 다른 서버에서 실행된다면 공식 메뉴얼을 참고해주세요. 채굴자를 위한 지갑(주소) 생성 채굴을 위해서는 최소한 BLS 지갑(메인넷 용)이 필요 합니다. 별도의 소유자, 작업자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(lotus wallet new bls 명령어를 2번 실행합니다.) # A new BLS address to use as owner address: lotus wallet new bls f3... # A new BLS address to use as worker address: lotus wallet new bls f3... 지갑(주소) 백업 및 가져오기 필요한 경우 지갑을 파일로 백업..
작업 환경 운영체제 : Ubuntu 20.04.2 LTS 메모리 : 128GiB(+ Swap 256Gib) 시스템 스토리지 : SSD 110GiB 파일코인 스토리지 : SSD 3.6TiB (/filecoin) 환경변수 Lotus 관련 환경변수를 한 번에 셋팅합니다.(메뉴얼을 진행하며 하나씩 추가되는 내용입니다.) sudo vi /etc/profile.d/lotus.sh export PATH=$PATH:/usr/local/go/bin export RUSTFLAGS="-C target-cpu=native -g" export FFI_BUILD_FROM_SOURCE=1 export LOTUS_MINER_PATH=/filecoin/miner/storage export LOTUS_PATH=/filecoin/lotu..
- 스토리지 구성 확인 sudo fdisk -l 먼저 nvme0n1으로 456 GiB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건 SWAP용도로 사용합니다. 그 다음으로 SSD 3.65 TiB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건 Filecoin 저장 용도로 사용합니다. 기타사항으로 현재 리눅스 파일 시스템 스토리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현재 스토리지가 어떻게 마운트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. sudo df -h 위 사진들을 보면 /dev/sdb1이 루트 디렉토리(/)로 마운트 되어 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 Swap 공간 확보 먼저 nvme 스토리지 전체 456GiB 중 256 GiB만 SWAP으로 만듭니다. sudo fdisk /dev/nvme0n1 (fdisk 스토리지 편집 모드) n 입력(새로운 파티션 분할) p 입력(Primary..
mysql> use DB명; Database changed mysql> repair table 테이블명; +——————–+——–+———-+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+ | Table | Op | Msg_type | Msg_text | +——————–+——–+———-+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+ | 테이블명 | repair | error | Can’t create new tempfile: ‘테이블명.TMD’ | | 테이블명 | repair | status | Operation failed | *dump 진행 # mysqldump -u root -p db명 > 파일명.sql Enter password: mysqldump: Got error: 144: Table ‘테이블명’ is marked ..
HTTP 프로토콜이란?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. TCP/IP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토콜 연결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비연결성 프로토콜 HTTP1.1의 구성 Request(Response) line Header General Header Request/Response Header Entity Header (blank line) Body REST란?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줄임말로 자원을 이름(자원의 표현)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(정보)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. 출처 구성 자원(Resource) : URI 행위(Verb) : HTTP Method 표현(Representation of Resource) : 서버의 응답 특징 ..
1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HDFS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? : RDBMS 하둡 데이터 타입 구조화된 데이터, 스키마는 알려져있음 모든 데이터, 구조화 비구조화 반구조화 가공 제한된 처리기능 클러스터 전체에 분산된 데이터를 병렬 처리 읽기 데이터를 로드하기전에 스키마 유효성 검사 스키마 온 라이트 Hadoop은 읽기 정책에 스키마 스키마 온 리드 읽기/쓰기 속도 데이터 스키마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읽기가 빠름 쓰기중에 유효성 검사가 수행되지 않으므로 쓰기가 빠름 사용 사례 OLTP 데이터 검색, 분석 또는 OLAP 2. 빅데이터를 설명하는 5V는 무엇인가요? : Volume, Velocity, Variety, Veracity, value 3. 하둡과 그 구성요소는 무엇인가요? : 저장장치 -HDFS 처리..